홈 > 한솔도서 > 한국산업인력공단 > 안전관리분야

[1권]
1과목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보건교육
주요항목 01 산업재해예방 계획수립
세부항목 (1) 안전관리(安全管理 : safety management) 1-2
1. 안전과 위험(危險)의 개념 1-2
2. 안전 용어 정의 1-4
3. 안전보건관리 제(諸)이론 1-7
4. 생산성과 경제적 안전도 1-8
5. 재해예방활동기법 1-10
6. 위험예지활동 1-12
7. KOSHA GUIDE(안전보건기술지침) 1-17
8. 안전보건예산 편성 및 계상 1-18
9. 안전 관련 역사 1-21
세부항목 (2) 안전보건관리 체제 및 운용 1-23
1. 안전보건관리조직 구성 1-23
2.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1-25
· 출제예상문제 1-33
주요항목 02 안전보호구 관리
세부항목 (1) 보호구 및 안전장구 관리 1-52
1. 보호구의 개요 1-52
2. 보호구 선택시의 유의사항 1-52
3. 안전인증보호구 1-52
4. 안전인증 기관의 확인 1-53
세부항목 (2) 보호구의 종류별 특성, 성능기준 및 시험방법 1-54
1. 안전모 1-54
2. 안전대 1-55
3. 호흡용 보호구 1-57
4. 보안경 1-58
5. 안전화 1-58
6. 보호면 1-59
7. 방음보호구 적용범위 1-60
세부항목 (3) 안전보건표지의 종류·용도 및 적용 1-61
1. 산업안전보건표지 종류 1-61
2. 안전보건표지판의 크기 및 표준기준 1-62
3.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 1-63
세부항목 (4) 안전보건표지의 색채 및 색도기준 1-64
· 출제예상문제 1-66
주요항목 03 산업안전심리
세부항목 (1) 산업심리와 심리검사 1-74
1. 심리검사의 종류 1-74
2. 인사관리의 중요기능 1-74
3. 인간관계의 기제(메커니즘:mechanism) 1-75
4. 인간관계 관리방법 1-76
5. 모랄 서베이(morale survey) 1-77
6. 양립성[일명 모집단 전형(兩立性 : compatibility)] 1-77
세부항목 (2) 작업적성과 배치 1-78
1. 직업적성의 분류 1-78
2. 성격검사 유형 1-80
3. 사고발생 경향 및 기제 1-81
세부항목 (3) 인간의 특성과 안전과의 관계 1-84
1. 안전사고 요인 1-84
2. 착상심리 1-84
3. 직무분석 1-86
· 출제예상문제 1-88
주요항목 04 인간의 행동과학
세부항목 (1) 조직과 인간행동 1-98
1. 안전심리 및 사고요인 1-98
세부항목 (2) 재해 반발성 및 행동과학 1-100
1. 재해설 1-100
2. 동기 및 욕구이론 1-101
세부항목 (3) 생체리듬과 피로 1-104
1. 스트레스 및 RMR 1-104
2. 피로(fatigue) 1-105
3. 생체리듬(biorhythm) 1-109
세부항목 (4) 집단관리와 리더십 1-111
1. 집단관리 1-111
2. 욕구저지 이론 1-112
3. 욕구저지 반응기제에 관한 가설 1-113
4. 리더십(leadership) 1-113
세부항목 (5) 착오와 실수 1-117
1. 착시(Optical illusion) 1-117
2. 인간의 주의특성 1-119
3. 부주의 1-122
· 출제예상문제 1-125
주요항목 05 안전보건교육의 내용 및 방법
세부항목 (1) 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1-137
1. 교육목적 1-137
2. 교육의 개념 1-138
세부항목 (2) 안전보건교육계획수립 및 실시 1-139
1. 안전보건교육 계획 1-139
2. 안전보건교육의 기본방향 1-139
세부항목 (3) 교육방법 1-141
1. 교육 훈련 기법 1-141
2. 학습목적의 3요소 1-143
3. 안전보건교육방법(O.J.T, OFF.J.T) 1-144
세부항목 (4) 교육실시 방법 1-146
1. 토의식과 강의식 교육 1-146
2. 관리감독자 교육 1-148
3. 교육심리학(Educational Psychology)의 이해 1-150
세부항목 (5) 교육내용 1-154
1. 안전보건교육의 3단계 및 진행 4단계 1-154
2.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 및 시간 1-155
3.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교육시간 1-164
4. 검사원 성능검사 교육 1-164
5.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1-165
6.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교육내용 1-165
7. 교육훈련평가의 4단계(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측정) 1-166
· 출제예상문제 1-167
주요항목 06 산업안전관계법규
세부항목 (1) 산업안전보건법 1-179
제1장 총칙 1-179
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1-180
제3장 안전보건교육 1-181
제4장 유해·위험 방지 조치 1-182
제5장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 1-182
제6장 유해·위험 기계 등에 대한 조치 1-184
제7장 유해·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1-186
제8장 근로자 보건관리 1-187
제9장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보건지도사 1-188
제10장 근로감독관 등 1-188
제11장 보칙 1-189
제12장 벌칙 1-190
부칙[법률 제20677호, 2025. 1. 21] 1-190
세부항목 (2)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1-191
제1장 총칙 1-191
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1-192
제3장 안전보건교육 1-196
제4장 유해·위험 방지 조치 1-197
제5장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 1-201
제6장 유해·위험 기계 등에 대한 조치 1-205
제7장 유해·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1-207
제8장 근로자 보건관리 1-208
제9장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보건지도사 1-209
제10장 보칙 1-209
제11장 벌칙 1-210
부칙[대통령령 제35597호, 2025. 6. 20.] 1-210
산업안전보건법, 영·규칙 별표 1-211
세부항목 (3)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1-223
제1장 총칙 1-223
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1-224
제3장 안전보건교육 1-225
제4장 유해·위험 방지 조치 1-226
제5장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 1-231
제6장 유해·위험 기계 등에 대한 조치 1-234
제7장 유해·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1-236
제8장 근로자 보건관리 1-238
제9장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보건지도사 1-241
제10장 근로감독관 등 1-241
제11장 보칙 1-242
부칙[제443호, 2025. 5. 30.] 1-242
· 출제예상문제 1-260
2과목 인간공학 및 위험성 평가·관리
주요항목 01 안전과 인간공학
세부항목 (1) 인간공학(Ergonomics)의 정의 2-2
1. 정의 및 목적 2-2
2. 배경 및 필요성 2-4
3. 작업관리와 인간공학 2-5
4. 사업장에서의 인간공학 적용분야 2-5
세부항목 (2) 인간-기계체계 2-6
1. 인간-기계 시스템의 정의 및 유형 2-6
2. 시스템의 특성 2-7
3. 인간과 기계의 기능 비교 2-10
세부항목 (3) 체계설계와 인간요소 2-12
1. 목표 및 성능명세의 결정 2-12
2. 기계설비 고장유형 2-12
3. 인간-기계(man-machine) 시스템의 신뢰도 2-13
4. 설비의 신뢰도 2-14
5. 신뢰도 개선(改善) 및 설계 2-17
6. 감성공학(感性工學 : image engineering) 2-18
세부항목 (4) 인간요소와 휴먼에러 2-19
1. 인간실수의 분류 2-19
2. 형태적 특성 2-20
3. 인간실수 확률에 대한 추정기법 2-21
4. 인간실수 예방기법 2-22
· 출제예상문제 2-24
주요항목 02 위험성 파악·결정
세부항목 (1) 위험성 평가 2-36
1. 위험성 평가의 정의 및 개요 2-36
2. 평가대상 선정 2-37
3. 평가항목 2-41
4. HAZOP 위험관리 절차 2-42
5. 관련법에 관한 사항 2-44
6. 보전성공학 2-48
7. 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 내용 등 2-51
8. 인간실수 확률에 대한 추정기법 적용 2-52
9. 인간에러(Human Error) 2-54
세부항목 (2) 시스템 위험성 추정 및 결정 2-56
1. 시스템 위험성 분석 및 관리 2-56
2. 위험분석기법 2-57
3. 결함수[FTA(故障樹木 : fault tree)] 분석 2-67
4. 정성적, 정량적 분석 2-79
5. 신뢰도 계산 2-83
6. 인간에러(human error)예방대책 2-84
· 출제예상문제 2-85
주요항목 03 위험성 감소 대책 수립·실행
세부항목 (1) 위험성 감소 대책 수립 및 실행 2-103
1. 위험성 개선대책(공학적·관리적)의 종류 2-103
2. 허용가능한 위험수준 분석 2-105
3. 감소대책에 따른 효과 분석 능력 2-105
· 출제예상문제 2-108
주요항목 04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
세부항목 (1) 근골격계 유해요인 2-111
1. 근골격계 질환의 정의 및 유형 2-111
2. 근골격계부담작업(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-12호) 2-112
세부항목 (2)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평가 2-113
세부항목 (3) 근골격계 유해요인 관리 2-114
1. 작업관리(유해요인 조사) 목적 2-114
2. 방법 연구 및 작업 측정 2-114
3. 문제 해결 절차 2-115
4. 작업개선안의 원리 및 도출방법 2-116
· 출제예상문제 2-117
주요항목 05 유해 요인 관리
세부항목 (1) 물리적 유해요인 관리 2-124
1. 물리적 요인(Physical Agents) 파악 2-124
2.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 2-136
3. 물리적 유해요인 관리대책 수립 2-138
세부항목 (2) 화학적 유해요인 관리 2-140
1. 화학적 유해요인 파악 2-140
2. 화학적 유해요인 노출기준 2-141
3. 화학적 유해요인 관리대책 수립 2-141
세부항목 (3) 생물학적 유해요인 관리 2-142
1. 생물학적 요인(Biological Agents) 파악 2-142
2. 생물학적 유해요인 등 노출기준 2-143
3. 생물학적 유해요인 관리대책 수립 2-146
· 출제예상문제 2-149
주요항목 06 작업환경 관리
세부항목 (1) 인체계측 및 체계제어 2-158
1. 인체계측 및 응용원칙 2-158
2. 신체반응의 측정 2-159
세부항목 (2) 신체활동의 생리학적 측정법 2-160
1. 신체반응의 측정(작업의 종류에 따른 측정방법) 2-160
2. 부품(공간)배치의 4원칙 2-161
3. 의자의 설계원칙 2-161
세부항목 (3) 작업공간 및 작업자세 2-162
1. 개별작업공간(work space) 설계지침 2-162
2. 활동분석 2-162
3. display가 형성하는 목시각(目視角) 2-163
세부항목 (4) 작업측정 2-164
1. 기계설계 진행방법 2-164
2. 신체부위의 운동 2-166
세부항목 (5) 작업환경과 인간공학 2-167
1. 열교환과정과 열압박 2-167
2. 실효온도 및 OXford지수 2-167
3. 이상환경 및 노출에 따른 사고와 부상 2-168
4. 통제표시비 2-175
5.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 2-177
6. 양립성(compatibility) 2-179
7. 수공구(手工具) 2-179
8. 사무/VDT작업설계 및 관리 2-181
세부항목 ? 중량물 취급 작업 2-188
1. 중량물 취급 방법 2-188
2. NIOSH Lifting Equation 2-191
· 출제예상문제 2-192
3과목 기계·기구 및 설비안전 관리
주요항목 01 기계안전 시설관리
세부항목 (1) 안전시설 관리 계획하기 3-2
1. 기계 방호장치 3-2
2. 풀프루프(Fool proof) 3-4
3. 페일세이프(fail safe) 3-7
세부항목 (2) 안전시설 설치하기 3-9
1. 안전시설물 설치기준 3-9
2. 기계 종류별 안전장치 설치기준 3-15
세부항목 (3) 안전시설 유지·관리하기 3-20
1. KSB 규격과 ISO 규격 통칙에 대한 지식 3-20
2. 유해위험기계 종류 및 특성 3-26
· 출제예상문제 3-28
주요항목 02 기계분야 산업재해 조사
세부항목 (1) 재해(災害 : accident)조사 3-32
1. 재해조사의 목적 3-32
2. 재해의 원인분석 및 조사기법 3-33
3. 재해(사고)조사방향 3-34
4. 재해(사고)조사시의 유의사항 3-34
세부항목 (2) 산재분류 및 통계분석 3-35
1. 산재분류의 이해 3-35
2. 산업재해발생의 mechanism(형태) 3가지 3-36
3. 재해 법칙 3-36
4. 산업재해발생 조치순서 3-37
5. 미국의 PDCA법 3-38
6. 하인리히 산업재해예방의 4원칙 3-38
7. 하인리히 사고예방대책 기본원리 5단계 3-38
8. 재해관련 통계의 종류 및 계산 3-46
9. 재해손실비의 종류 및 계산 3-48
세부항목 (3) 안전점검·검사·인증 및 진단 3-52
1. 안전점검(安全點檢 : safety inspection)의 정의 및 목적 3-52
2. 안전점검의 종류 3-53
3. 안전점검표 작성 3-54
4. 안전인증 3-57
5. 자율안전확인대상 3-59
6. 안전진단 및 안전검사 3-61
· 출제예상문제 3-64
주요항목 03 기계설비 위험요인 분석
세부항목 (1) 공작기계(工作機械 : machine tools)의 안전 3-82
1. 절삭가공기계의 종류 및 방호장치 3-82
2. 선반 3-82
3. 밀링(milling)머신 3-86
4. 플레이너(planer)와 셰이퍼·슬로터 3-88
5. 드릴(drill)링머신 3-90
6. 연삭기(grinding machine) 3-93
7. 소성가공 및 방호장치 3-98
세부항목 (2) 프레스 및 전단기의 안전 3-99
1. 프레스 재해방지의 근본적인 대책 3-99
2. 금형(die)의 안전화 3-107
세부항목 (3) 기타 산업용 기계·기구 3-111
1. 롤러기(壓搾機 : rolling mill) 3-111
2. 원심기(centrifugal machine) 3-114
3. 아세틸렌용접장치 및 가스집합용접장치 3-116
4. 보일러(boiler) 3-123
5. 압력용기 및 공기압축기 3-124
6. 산업용 로봇 3-128
7. 고속회전체 3-130
8. 사출성형기 3-131
9. 목재가공용 기계 3-133
세부항목 (4) 운반기계 및 양중기 3-138
1. 지게차(fork lift) 3-138
2. 컨베이어(conveyor) 3-140
3. 리프트(lift) 3-143
4. 양중기(건설용 제외) 3-144
5. 운반기계(구내운반차) 3-159
· 출제예상문제 3-160
주요항목 04 기계안전점검
세부항목 (1) 기계공정의 특수성 분석 3-192
1. 설계도(설비 도면, 장비사양서 등) 검토 3-192
2. 파레토도, 특성요인도, 클로즈분석, 관리도 3-193
3. 공정의 특수성에 따른 위험요인 3-194
4. 설계도에 따른 안전지침 3-196
5. 특수작업(特殊作業)의 조건 3-197
6. 표준안전 작업절차서 3-198
7. 공정도를 활용한 공정분석 기술 3-198
세부항목 (2) 기계의 위험 안전조건 분석 3-201
1. 기계의 위험요인 3-201
2. 본질적 안전 3-202
3. 기계의 일반적인 안전사항과 안전조건 3-203
4. 유해위험기계기구의 종류, 기능과 작동원리 3-203
5. 기계(機械)의 위험성 3-204
6. 설비보전의 개념 3-207
7. 기계의 위험점 조사 능력 3-208
8. 기계작동 원리분석기술 3-209
· 출제예상문제 3-212
주요항목 05 기계설비 유지·관리
세부항목 (1) 비파괴 검사(非破壞檢査 : bondestuctive inspection)의 종류 및 특징 3-218
1. 파괴시험 3-218
2. 비파괴시험 3-220
3. 수공구류 안전기준 3-224
세부항목 (2) 소음·진동 방지 기술 3-226
1. 진동방지 기술 3-226
2. 소음방지 기술 3-229
· 출제예상문제 3-231
[2권]
4과목 전기 및 화학설비 안전관리
주요항목 01 전기작업 안전관리
세부항목 (1) 전기안전관리 4-2
1. 배(분)전반(配電盤 : switch board) 4-2
2. 정격차단용량(kA) 4-3
3. 개폐기(開閉器 : switch) 4-4
4. 과전류 및 누전차단기(RCD : Residual Current Device) 4-5
5. 보호계전기(전기로 작동시키는 스위치) 4-8
6. 전기안전관련법령 4-9
· 출제예상문제 4-10
주요항목 02 감전재해 및 방지대책
세부항목 (1) 감전재해예방 및 조치 4-16
1. 안전전압(安全電壓) 4-16
2. 전기(電氣 : Electricity) 4-17
3. 인체의 저항 및 위험에너지 4-18
세부항목 (2) 감전재해의 요인 4-19
1. 감전 요소 4-19
2. 옴의 법칙, 줄의 법칙, 허용접촉전압 및 보폭전압 4-19
3. 감전사고의 형태 및 인공호흡 4-21
세부항목 (3) 절연용 안전장구 4-22
1. 절연용 안전보호구 4-22
2. 절연용 안전방호구 4-23
· 출제예상문제 4-25
주요항목 03 정전기(靜電氣 : static electricity) 장·재해 관리
세부항목 (1) 정전기 위험요소 파악 4-32
1. 정전기 발생원리 4-32
2. 정전기 대전(발생) 현상 4-33
3. 방전의 형태 및 영향 4-34
4. 정전기의 장해 4-34
세부항목 (2) 정전기 위험요소 제거 4-36
1. 예방대책 4-36
2. 접지 4-36
3. 유속의 제한 4-39
4. 보호구의 착용 4-40
5. 전하(電荷 : Electric Charge), 쿨롱의 법칙(Coulomb’s Law) 4-40
6. 대전방지제 4-41
7. 가습(加濕) 4-42
8. 본딩(bonding) 4-43
9. 제전기 4-44
· 출제예상문제 4-45
주요항목 04 전기방폭 관리
세부항목 (1) 전기방폭(防爆 : explosonproof)설비 4-51
1. 방폭구조의 종류 및 특성 4-51
2. 방폭구조 선정 및 유의사항 4-52
3. 방폭형 전기기기 4-53
세부항목 (2) 전기방폭 사고예방 및 대응 4-57
1. 전기폭발 등급 4-57
2. 피뢰기 설비 4-58
3. 가공전선의 높이 안전기준 4-60
4. 가스시설 전기방폭 기준(KGS GC201) 2018 4-60
5. 방폭형 전기기기 4-62
6. 변전실 등의 양압유지에 관한 기술상의 지침 4-62
7. 전자파 4-63
8. 노이즈 4-65
· 출제예상문제 4-66
주요항목 05 전기설비 위험요인 관리
세부항목 (1) 전기설비 위험요인 파악 4-72
1. 전기화재(電氣火災 : electrical fire)의 발생원인 및 대책 4-72
2. 전기화재의 예방대책 4-73
3. 절연저항 4-73
세부항목 (2) 전기설비 위험요인 점검 및 개선 4-76
1. 정전작업시 조치(주의)사항 4-76
2. 저압옥내배선에 사용하는 600[V](비닐, 폴리에틸렌, 불소수지, 고무질 등)
절연전선의 허용전류 4-77
3. 전선의 사용 제한 및 절연용 보호구 점검 4-78
4. 교류아크용접기의 점검 4-78
5. 용어의 정의 및 설치장소, 주의사항 4-79
6. 점검기준 4-80
· 출제예상문제 4-83
주요항목 06 화재·폭발 검토
세부항목 (1) 화재·폭발 이론 및 발생 이해 4-96
1. 연소(燃燒 : combustion)의 정의 및 요소 4-96
2. 폭발(爆發 : explosion)의 원리 4-97
3. 연소(화재)·폭발의 형태 및 종류 4-98
4. 연소(폭발)의 범위 및 위험도 4-99
5. 완전연소 조성농도 4-99
6. 연소파와 폭굉파 4-100
7. 폭발의 원리 및 이론 방지대책 4-101
세부항목 (2) 소화 원리 이해 4-106
1. 소화의 정의 4-106
2. 소화의 종류 4-106
3. 소화약제 4-107
4. 소화기의 종류 4-108
세부항목 (3) 폭발방지대책 수립 4-111
1. 폭발방지대책 4-111
2. 소방대책 및 방폭구조 4-111
3. 폭발하한계 및 폭발상한계의 계산 4-112
4. 퍼지(Purging) 4-114
· 출제예상문제 4-115
주요항목 07 화학물질 안전관리 실행
세부항목 (1) 화학물질(위험물, 유해화학물질) 확인 4-127
1. 위험물의 기초화학 4-127
2. 유해화학물질의 유해요인 4-128
3. 화학식 4-128
세부항목 (2) 화학물질(위험물, 유해화학물질) 유해 위험성 확인 4-129
1. 위험물의 성질과 위험성 4-129
2.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방법 4-131
3. 유해화학물질 취급시 주의사항 4-133
4. 유해물질의 종류 및 성질 4-135
5. 유해가스의 응급처치법 4-136
6. 물질안전보건자료(物質安全保健資料 : Material Safety Data Sheets) 4-138
7.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(유해인자의 유해성·위험성 분류기준)에 따른
화학물질 분류기준 4-139
세부항목 (3) 화학물질 취급설비 개념 확인 4-140
1. 각종 장치(고정, 회전 및 안전장치 등) 종류 4-140
2. 화학장치(반응기, 정류탑, 열교환기 등) 특성 4-143
3. 화학설비(건조설비 등)의 취급시 주의사항 4-148
4. 전기설비(계측설비 포함) 4-155
· 출제예상문제 4-156
주요항목 08 화공안전 비상조치 계획·대응
세부항목 (1) 비상조치 계획 및 평가 4-177
1. 비상조치 계획 4-177
2. 비상대응 교육 훈련(급박한 위험) 4-178
3. 자체 매뉴얼 개발 4-178
· 출제예상문제 4-180
주요항목 09 화공 안전운전·점검
세부항목 (1) 공정안전 기술 4-181
1. 공정안전관리(PSM) 개요 4-181
2. 공정안전보고서 4-182
세부항목 (2) 안전점검 계획 수립 4-183
1. PSM 제도 4-183
2. 안전운전 계획 4-184
세부항목 (3) 공정안전보고서 작성 심사·확인 4-185
1. 공정안전 자료 4-185
2. 위험성 평가 4-187
· 출제예상문제 4-190
5과목 건설공사 안전관리
주요항목 01 건설현장 안전점검
세부항목 (1) 건설공사(建設工事) 특수성 분석 5-2
1. 안전관리 계획 수립 5-2
2. 공사장 작업환경 특수성 5-3
세부항목 (2) 안전관리 고려사항 확인 5-9
1. 건설현장 안전관리 5-9
2. 시공 및 재해사례 검토 5-10
· 출제예상문제 5-11
주요항목 02 건설현장 유해·위험요인 관리
세부항목 (1) 건설공사 유해·위험요인 파악 5-15
1. 유해·위험요인 선정 5-15
2. 안전보건자료(기준) 5-19
3. 유해위험 방지 계획서 5-20
세부항목 (2) 건설공사 위험성 추정·결정 5-22
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5-22
· 출제예상문제 5-35
주요항목 03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관리
세부항목 (1)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규정 5-37
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/대상액 작성요령/항목별 사용내역 5-37
· 출제예상문제 5-46
주요항목 04 건설현장 안전시설 관리
세부항목 (1) 안전시설(安全施設) 설치 및 관리 5-48
1. 추락(墜落 : 떨어짐) 방지용 안전시설 5-48
2. 붕괴(崩壞 : Collapse : 무너짐) 방지용 안전시설 5-55
3. 낙하, 비래(맞음) 방지용 안전시설 5-57
세부항목 (2) 건설공구 및 장비 안전수칙 5-60
1. 건설공구 5-60
2. 건설장비의 종류 및 안전수칙 5-61
3. 토공기계(earth-moving machine) 및 안전수칙 5-65
4. 운반기계(運搬機械 : conveying machinery) 및 다짐장비 등 안전수칙 5-69
· 출제예상문제 5-76
주요항목 05 비계·거푸집 가시설 위험방지
세부항목 (1) 건설 가시설물 설치 및 관리 5-87
1. 비계(飛階 : scaffold) 5-87
2. 작업통로 및 발판 5-98
3. 작업발판(walk plate) 설치기준 5-103
4. 안전망 설치기준 5-104
5. 거푸집 및 동바리 5-109
6. 흙막이(sheathing work) 5-117
· 출제예상문제 5-120
주요항목 06 공사 및 작업종류별 안전
세부항목 (1) 양중 및 해체공사 5-130
1. 양중공사시 안전수칙 5-130
2. 해체공사(demolition work)시 안전수칙 5-138
세부항목 (2) 콘크리트 및 PC공사 5-146
1. 콘크리트공사(concrete works)시 안전수칙 5-146
2. 콘크리트 측압 5-150
3. 철골공사 안전 5-153
4. PC공사시 안전수칙 5-169
세부항목 (3) 운반 및 하역작업 5-171
1. 운반작업(運搬作業 : transportation) 시 안전수칙 5-171
2. 하역작업(荷役作業 : cargo work)시 안전수칙 5-182
· 출제예상문제 5-194
부록 찾아보기
[3권]
부록 과년도 출제문제
· 2023년도 산업기사 정기검정
2023년도 산업기사 정기검정 제1회 CBT(2023년 03월 01일 시행) 4
2023년도 산업기사 정기검정 제2회 CBT(2023년 05월 13일 시행) 32
2023년도 산업기사 정기검정 제3회 CBT(2023년 07월 08일 시행) 59
· 2024년도 산업기사 정기검정
2024년도 산업기사 정기검정 제1회 CBT(2024년 02월 15일 시행) 86
2024년도 산업기사 정기검정 제2회 CBT(2024년 05월 09일 시행) 114
2024년도 산업기사 정기검정 제3회 CBT(2024년 07월 05일 시행) 143
· 2025년도 산업기사 정기검정
2025년도 산업기사 정기검정 제1회 CBT(2025년 02월 07일 시행) 172
2025년도 산업기사 정기검정 제2회 CBT(2025년 05월 10일 시행) 200
2025년도 산업기사 정기검정 제3회 CBT(2025년 08월 09일 시행) 230